본문 바로가기

연금저축계좌 최대 148만 5천원 세액공제 받는 법 총정리! 결정세액 확인, 최적 납입금액 알아보세요

짠테크에 진심 2025. 3. 18.
반응형

매 년 148만 5천 원을 돌려받을 수 있는 절세 계좌 '연금저축계좌'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이 계좌를 잘 활용하면, 아래와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 최대 148만 5천 원까지 세금 환급 가능(IRP합산)
  • 절세 효과 + 노후 대비 
  • 세액공제받지 않은 원금은 비과세 및 자유롭게 인출 

오늘 포스팅에서는 빨간색으로 표시한 연금저축계좌의 기본 내용에 대해 자세히 소개해 보겠습니다. 최근에 연금저축계좌를 알아보면서 은근히 어려운 부분이 많았기 때문에 저와 같은 재테크 초보자의 시선으로 꼼꼼하게 정리하겠습니다 :) 

연금저축계좌
연금저축계좌 자세히 공부하기!

1. 연금저축계좌 기본 정보

1) 연금저축계좌 핵심 요약

항목 내용
가입자격 누구나
세액공제율 총급여 5,500만 원 이하 → 16.5% / 총급여 5,500만 원 초과 → 13.2%
납입 한도 IRP 포함 연간 1,800만 원
세액공제 한도 600만 원
연금수령 요건 1) 5년 이상 가입 2) 만 55세 이후 3) 10년 이상에 걸쳐 수령
연금소득세 70세 미만: 5.5% / 70세 이상: 4.4% / 80세 이상: 3.3%
중도 인출 시 세금 세액공제 받은 금액 기타소득세 16.5% 부과
세액공제 받지 않은 금액 비과세 (모든 세금 X)

어린아이부터 노인까지 조건없이 누구나 가입 가능 합니다. 납입한도는 IRP(개인형 퇴직연금) 포함 1,800만 원이고, 연금저축계좌의 세액공제 한도는 600만 원까지입니다. 그러므로 연 최대 600만 원은 납부해 두는 게 좋겠죠? 

⚠️세액공제 받은 금액을 중도 인출할  경우 16.5%의 기타 소득세가 부과됩니다. 또한 최대 세액공제 금액인 600만 원 이상을 입금하여세액공제받지 않은 금액이 있다면, 이 금액에 대해서는 비과세로 자유롭게 출금이 가능합니다.

'세액공제받지 않은 금액'에 대한 이야기는 다음 포스팅에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2) 연금저축계좌 세액공제 혜택 

연금저축계좌의 큰 장점 중 하나인 세액공제 혜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총급여액 (종합소득금액) 연금저축 단독 세액공제 한도 IRP 포함 세액공제 한도 세액공제율 최대 세액공제액
5,500만 원 이하 (4,500만 원 이하) 600만 원 900만 원 16.5% 148만 5천 원
5,500만 원 초과 (4,500만 원 초과) 600만 원 900만 원 13.2% 118만 8천 원

※ 연금저축계좌 단독 최대 세액공제 | 5,500 이하 90만 원, 5,500 초과 72만 원 

  • 연금저축계좌에 돈을 이체해 두는 것만으로도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증권사에서 연금저축계좌를 개설하면, 계좌 내에서 투자도 가능한데 일반 계좌에서 투자하는 것에 비해 최대 16.5%의 수익률을 확보하고 투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위의 표는 IRP포함 900만 원에 대한 최대 세액공제액 입니다.

⚠️ 다만 세액공제이기 때문에 결정세액 안에서만 공제가 되는 것입니다. 만약 결정세액이 148만 5천 원이 되지 않는다면, 최대 세액공제 금액을 전부 받을 수는 없습니다.

2. 결정세액 알아보기 

1) 세액공제 과정

연금저축계좌의 세액공제 혜택을 이해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개념입니다. 천천히 읽어보면 어렵지 않습니다. 

  • 과세표준 | 총소득 금액에서 소득공제(인적공제 등)를 받을 수 있는 부분을 뺀 금액으로 이 금액을 기준으로 세율을  적용하여 세금을 계산합니다. 
  • 산출세액 | 과세표준에 각자 소득구간에 따른 세율을 적용하여 구하는 세액입니다. (과세표준 X기본세율)
  • 결정세액 | 위의 산출세액에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부분을 모두 뺀 금액이 결정세액입니다. 연금저축계좌 세액공제 혜택은 결정세액의 한도 내에서 이루어집니다.

2) 기납부세액과 결정세액

  • 기납부세액 | 매월 근로자가 미리 납부한 근로소득세, 원천징수된 세금 
  • 결정세액 | 연말정산 결과 실제 근로자가 납부해야 할 연간 총 근로소득세 

쉽게 말해 회사에서 매 달 꼬박꼬박 '기납부세액'을 미리 떼가는데요. 원천징수한 기납부세액이 실제로 납부해야 할 결정세액보다 크면, 차액만큼 세금을 돌려주게 됩니다.

💡그렇다면세액공제받을 수 있는 금액이 많아질수록 결정세액은 줄어들게 되겠죠? 결정세액이 작아질수록 기납부세액과의 차가 커지므로, 더 많이 세금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3) 결정세액 알아보는 방법

원천징수영수증
국세청홈택스 메인 화면

국세청 홈택스 사이트 상단의 검색창에 '원천징수영수증'을 검색하면 공인인증서 로그인 후 내역을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내용을 바탕으로 결정세액이 어느 정도 될지 예상해 볼 수 있겠죠? 

원천징수영수증 2페이지 오른쪽 하단

원천징수영수증 2페이지 하단에서 결정세액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저희 집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부분이 많지 않아서 결정세액이 많습니다. 이렇게 결정세액이 넉넉하다면 세액공제 최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연금저축계좌, IRP를 납입하는 게 유리하겠죠? 

다만... 최대 금액인 900만 원을 저축할 여력이 없는 게 아쉽습니다. 이제 막 재테크 공부 시작한 초보자로서 기본적인 세액공제 관리도 못 한 지난 시간이 너무 아쉽네요. 

 

3. 연금저축계좌 세액공제 예시

연금저축계좌의 세금 환급이 실제로  어떻게 되는지 예시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 예제 1 : 연봉 5,000만 원 직장인

세액공제율 16.5%, 400만 원 납입 시 

400만 원 X15% = 66만 원 환급

✅ 예제 2 : 종합소득금액 5,000만 원 개인사업자

세액공제율 13.2%, 400만 원 납입 시 
400만 원 X13.2% = 52만 8천 원 환급

✅ 예제 3 : 연봉 8,000만 원 직장인

세액공제율 13.2%, 600만 원 납입 시

600만 원 X 13.2% = 79만 2천 원 환급

4. 결정세액에 따른 최적 납입금액 

앞서 언급했듯이 세금을 최대한 돌려받으려면  '결정세액'(실제로 납부할 세액)을 고려해야 합니다. 연금저축계좌는 IRP와 함께 납입하는 것도 고려해야 하지만, 오늘은 오로지 '연금저축계좌'만 납입할 경우에 대해서만 이야기해 볼게요. 

결정세액 총급여액 연금저축 납입금액 세액공제율 세액공제액
60만 원 5,000만 원 (직장인) 360만 원 16.5% 59만 4천 원
60만 원 5,000만 원 (개인사업자) 450만 원 13.2% 59만 4천 원
80만 원 8,000만 원 (직장인) 600만 원 13.2% 79만 2천 원

 

📌 포인트는 결정세액을 미리 알아두고, 그 안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세액공제 금액을 계산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결정세액보다 세액공제 금액이 크면, 돌려받지 못하는 금액이 발생할 수 있으니까요.

5. 정리

  • 결정세액보다 세액공제 금액이 크면 환급을 모두 받을 수 없습니다. 
  • 연금저축계좌의 최대 세액공제 한도는 연 600만 원입니다. 
  • IRP계좌와 연금저축계좌를 함께 활용하면 최대 900만 원까지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연금저축계좌 600만 원+ IRP 300만 원)
  • 납입한도는 IRP계좌 포함 연간 1,800만 원입니다. 연금저축계좌만 1,800만 원을 넣는 것도 가능합니다. 
  • 세액공제를 받은 금액은 중도 인출 시 16.5% 기타 소득세가 부과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연금저축계좌의 기본 내용 외에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세금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여 똑똑한 재테크 시작해 보세요 💰

다음 포스팅 | 연금저축계좌 100% 활용법

 

연금저축계좌 100% 활용법 및 유리한 연금 수령 꿀팁

지난 포스팅에서 연금저축계좌의 세액공제 혜택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연금저축계좌에서 세액공제 혜택을 받지 않는 납입금 활용 방법과 연금 개시 후 유리한 수령 전략 등

card-curation.com

IRP계좌 + 연금저축계좌로 세액공제 최대 148만 5천 원

 

퇴직연금 IRP계좌 총정리! 연금저축계좌 함께 활용해서 최대 148만 5천 원 세액공제

지난 포스팅에서 연금저축계좌에 대해 이야기했었는데요. 오늘은 연금저축과 더불어 대표적인 세테크 상품인 IRP(개인형 퇴직연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IRP의 기본적인 특징과 연금

card-curation.com

함께 읽으면 도움될 만한  글 | ETF 초보 가이드, ETF 총정리

 

ETF 초보 가이드 | ETF 뜻, 국내/해외 ETF 차이 및 세금까지 총정리

최근 'ETF' 투자 열풍이 대단합니다. ETF(상장지수펀드)는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는 펀드입니다. 적은 금액으로 다양한 주식에 분산 투자할 수 있어 초보 투자자도 접근하기 쉬운 상품이죠.최근 주

card-curation.com

 

반응형

댓글